'좋은글'에 해당되는 글 3건
- 2013.02.03 마음이 정화되는 글귀
- 2008.06.26 5 빼기 3이 2인 까닭은?
- 2008.01.30 당신의 가치를 떨어트리는 7가지.
5 빼기 3이 2인 까닭은?
“스님! 퀴즈 하나 낼 테니 맞혀 보세요.”
지난달 여름수련회 때의 일이다.
초등학교 4학년인 한 꼬마가
수수께끼라며 갑자기 문제를 냈다.
“5 빼기 3은 뭘까요?”
한참을 궁리했다. 난센스 문제 같기도 하고 아니면
무슨 의미가 내포되어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별의별 생각을 다한 뒤에 “글쎄”라고 답했다.
그랬더니 이 꼬마 녀석이
“스님은 바보예요.
이렇게 쉬운 것도 못 맞혀요” 하며 깔깔 웃었다.
내가 알려 달라고 하니 과자를 주면
알려 주겠다고 해 과자 한 봉지를 건네주었다.
“굉장히 쉬워요. 5 빼기 3은 2예요.”
나는 피식 웃음이 났다.
꼬마는 또 물었다. “그 뜻은 무엇일까요?”
‘하! 이건 또 뭐야?’
혼자 중얼거리며 생각에 잠겨 있는데,
그 녀석 하는 말이 걸작이다.
“오해를 타인의 입장에서
세 번만 더 생각하면 이해가 된다는 뜻이랍니다.”
순간 나는 무릎을 쳤다. “맞아!”
이후 어디에서 법문 요청이 오면
‘5 빼기 3’이 나의 단골 메뉴가 됐다.
오해로 인해 얼마나 가슴 아파했던가?
오해로 인해 얼마나 많은 다툼이 있었던가?
이 오해는 어디서 올까?
이해하지 못함에서 오겠지….
이해가 안 되는 건 왜일까?
내 입장에서만 생각해서겠지.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이해할까?
타인의 입장에서 바라보면 되겠지.
누가 내게 욕을 할 때는
그럴 만한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어서다.
그 사람의 입장에서
욕을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찾아보자.
이해가 되면 분노가 사라진다.
이해가 되면 내가 편해진다.
5 빼기 3은 2! 삶을 새롭게 하는 커다란 힘을 가졌다.
꼬마는 신이 나서 퀴즈를 하나 더 냈다.
“2 더하기 2는요?”
나는 가볍게 알아맞혔다.
“4지 뭐니.”
“맞았어요. 그럼 그 뜻은요” 하고 되묻는다.
또 한참을 궁리하다 모른다고 했더니, 그 꼬마는
“이해하고 또 이해하는 게 사랑이래요”라고
말한 뒤 깔깔대며 뛰어간다.
이 얼마나 멋진 말인가?
‘이해하고 또 이해하는 게 사랑이라….’
올여름 땀 흘리며 얻은 가장 큰 보람 중 하나다.
올여름 여러분도 5 빼기 3으로 마음을 넓히고,
2 더하기 2로 멋진 사랑을 해보면 어떨까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0km 기차 충돌테스트 (0) | 2008.12.15 |
---|---|
민주당 박영선의원의 전차 공격. (0) | 2008.11.08 |
10초안에 넥타이 매는법 (0) | 2008.04.06 |
미국방부의 4족 보행 병기 - Bigdog (0) | 2008.03.19 |
이라크군 미군 저격 동영상. (0) | 2008.03.10 |

1.상습적으로 고민거리를 말하고 다닌다.
주어진 일을 하다보면 크고 작은 난고나에 부딪치게 마련. 누구나 고민은 한다. 하지만 고민하더라도 입 밖으로 내색하지 말라. 고민이 되든 안되든 어차피 당신이 풀어야 할 일이다. 특히 당신이 상습적으로 고민을 풀어놓는 대상이 당신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한다면 더욱 입을 다물어야 한다.
당신의 잦은 푸념은 결국. 내 능력은 이것밖에 안돼!! 라고 광고를 하고 다니는 격이되고 만다.
2. 모르는 것은 일단 묻고 본다.
모르는 것은 죄가 아니다. 또한 원활한 업무 진행을 위해서라도 모르는 것이 있으면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
잘 모르는데 설명을 듣고도 이해하지 못했는데도 무시당할까봐. 쑥스러워서 등의 이유로 넘어가는 것은 위험한 일이며 더 큰 실수를 부를수 있다. 모르는 것이 있다면 마음 속에 진정 의문이 있다면 씩씩하게 물어봐야 한다.
그러나 질문의 내용이 사실 확인이 아닌 방법이나 방안에 관한 것이라면 생각도 해 보기전에 일단 묻고보자는 태도가 문제가 있다. 무엇인가를 누군가에게 묻기 전에 적어도 당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두 가지 이상 찾아보라. 질문은 그 뒤에 해도 늦지 않다. 질문의 절제 역시 당신의 능력을 인정받는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3. 이유를 밝히지 않고 맞장구를 친다.
왜 좋은지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가 서지 않는다면 남의 의견에 함부로 동조하거나 맞장구치지마라.
일이 잘되면 상으로 주어지는 몫은 의견을 낸 자에게만 돌아가지만 반대로 일이 안 풀리면 (당사자 혹은 함께한 팀원으로부터) 변명이나 원망의 대상에 당신마저 포함될수 있다.
4. 네!! 라는 답을 듣고도 설득하려 든다.
동조와 허락을 받아낸 것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설득하려 들지 마라. 정말 그래도 되는지 그로인해 당신에게 돌아올 불이익은 없는지 등을 두고. 애써 당신의 처지를 설명하고 재차 동조를 구하는 것은 적극적이지 못하고 소심하다는 인상만을 남길 뿐이다. 공감을 얻어야만 안심하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
5. 죄송해요. 라는 말을 남용한다.
죄송합니다. 몰랐네요..라는 말을 자주 쓰는가? 죄송하다는 말은 자신의 잘못이나 실수를 인정하는 말이다.일처리 과정에서 만약 정말 당신의 잘못이 있다면 죄송하다는 애매한 말 대신 왜 그런실수가 일어났는지 그래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상황부터 설명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서는 죄송하다고 말하지말라. 습관적인 죄송은 배려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오히려 상대방에게 내가 무관심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6. 스스로 함정에 빠지게 하는말. 그럼..제가 해볼게요.~
조직 내에서 가장 끔찍한 상황은 공식화되지 않은 책임을 수행해야 될 때이다. 당신은 모든일을 처리하기 위해 조직에 있는 것이 아니며 조직역시 당신에게 그런 기대를 하지 않는다. 그러나 당신이 당신 업무 외적인 일에 자주 나선다면 조직은 그걸 당연시하게 된다. 그만큼 당신이 가치를 발할 기회가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다. 무언가 당신이 그일을 함으로써 당신에게 내적이든 외적이든 도움이 된다고 판단될 때만 나서라. 우선 당신에게 주어진 업무를 분류해보자. 당신이 반드시 끝내야 하는 일 당신이 하면 좋지만 반드시 하지 않아도 되는 일. 당신이 하지 않아도 상관 없는일이 있을 것이다. 이중 세번째 업무는 머리속에서 지워라. 제일 우선시해야 할것은 당연하게 첫번째 일이다. 바로 이일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쓸데없는 일에는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는 말이다. 두번째 업무는 첫번째에 가까우면서 당신에게 이로운 것을 가려서 취사선택하라.
7. 부정적 의견을 되묻는다.
조직은 각양각색의 사람이 모인 곳이다. 당연히 업무상 의견차가 있을 수 있고. 당신의 생각이나 행동이 상대의 마음에 들지 않을수도 있다. 당신이 당신 스스로에 대해 혹은 업무에 대해 확신이 선 상태에서 일을 추진할 경우 태클 세력들에 대해 왜요? 뭐가 잘못됐죠? 하고 되묻지말라. 쓸테없는 감정 노출로 경계심을 살 필요없이 결과로만 말하면 될일이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억년의 진화를 5분만에 보자. (0) | 2008.02.01 |
---|---|
정품 구입 해주세요. (0) | 2008.01.30 |
뉴하트 오프닝 무한도전 버젼. (0) | 2008.01.26 |
소행성 지구 충돌 시뮬레이션 (0) | 2008.01.24 |
본인의 삼국지 영웅도 테스트(????) (1) | 2008.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