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아실지 모르시겠지만,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를 무료로 드리는 사업을 하게됬습니다.
근대 이게 전동휠체어를 무료로 받을려면 장애인 등급이 3이상 되어야 합니다..
(그냥 휠체어는 장애인 카드만 있으시면 무료로 받을수 있습니다.)
밑에 참고로 몇글자 적어드릴테니 잘 보시고 참고하시길 바랄께요.
전국 장애인 보장구 (자부담 구입비용) 지원사업 안내문
주최 : 사단법인 경남지체장애인협회 진주시지회
내용 : 건강보험가입 장애인 전동보장구 자부담 구입비용 지원사업
참조 : 처방전 서류를 보내주시면 보장구 회사와 협의를 거쳐 2주안에 본인집으로
우송하여 드립니다.
☞ 협 회 소 개 ☜
사단법인 경남지체장애인협회 진주지회는 지체장애인들의 복지를 위하여 1987년 7월에 설립되었으며 지역내 장애인 쉼터 및 상담실을 운영하여 장애인 복지안내에 힘쓰며 장애인전용작업장(일송정밑)과 주차장 사업을 운영하여 장애인 고용 창출과 재활자립의 꿈을 실연 하고 있습니다.
☞ 보 장 구 구 입 지 원 절 차 ☜
협회에서 보내드리는 안내문과 처방전을 받으시면 안내문을 잘 읽어보시고 처방전을 지참하시고 해당 병원(정형외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등에 가셔서 의사로부터 처방전을 받으셔서 협회 팩스로 복지카드와 처방전을 보내주 시면 지급 회사와 협의를 거쳐 2주 안에 해당 보장구를 댁으로 우송하여 드립니다.
☞ 보 장 구 구 입 지 원 안 내 ☜
기초수급 장애인들은 정부에서 구입금액 전액을 지원하여 드리고 건강보험 가입 장애인들은 건강보험 공단에서 구입비용의 80%를 지원하여 드리고 본인이 구입비용의 20%를 부담하여야 해당 전동보장구를 구입할 수가 있습니다. 본 협회에서는 본인이 부담하여야 하는 자부담 구입비용 20%를 지원하여 드리고 있습니다.
☞ 처 방 전 받 을 때 의 사 진 료 소 견 예 시 문 ☜
1. 상지 하지를 꼭 구분해서 기입 처방 받으셔야 됩니다.
2. 가급적이면 아래의 예와 같이 처방전을 받아주세요
예) 1. 상기인은 몇 년 몇 월에 중풍으로 인한 좌측상지 기능저하와 하지신경마비 및 근 위축으로 인하여 전동휠체어 사용이 꼭 필요한 것으로 사료됨
예) 2. 좌우하지 기능마비로 독단적인 보행이 불가능하며 팔 기능의 저하로 인해 수동휠체어의 사용이 어려운 상태이어서 전동휠체어가 꼭 필요합니다.
예) 3. 뇌 병변 장애에 의한 좌측편마비로 보행이 불가능하며 팔 기능의 저하로 인해 수동 휠체어의 사용이 어려운 상태로 전동휠체어 보장구가 꼭 필요합니다.
위의 내용중 1가지가 꼭 처방전에 기입되어야 합니다.
1. 보장구 처방전 2. 복지카드 사본 3. 건강보험카드 사본
기초수급 장애인분들 중에 서류처리와 절차가 어려워서 구입을 망설이고 계신 장애인분이 게시면 협회로 연락을 주시면 모든 절차와 서류처리를 도와드리겠습니다.
(처방전을 받으시고 팩시 보내실때 복지카드 사본에 본인 연락처를 기제하셔서 보내주세요)
**지원문의처**
전화: 055)-755-0008 팩스: 055-755-0035 담담자 연락처 : 011-510-1782
메일: whg2002@gmail.com 지회 홈페이지 : http://www.kappd-jinju.or.kr
사) 한국 지체장애인협회 경남 협회 진주시지회
★ 지 원 절 차 안 내 ★
*지원 대상자
- 건강보험대상자중 장애인등급이 있는 자로서 시각, 청각, 정신지체장애를 제외한 모든장애인이 대상이 며, 휠체어 지급대상(장애 1급-6급)에 해당하는자로서 보행에 장애가 있으며 팔기능이 약화되어 있는 장애인
*구비서류
-복지카드사본
-건강보험 증사본
-보장구처방전
*처리절차
- 복지카드를 지참하여 평소 다니시는 병원에서 보장구처방전 발급
- 보장구 처방전 발급시 보장구명은 전동휠체어로 발급
- 보장구처방전을 발급받으신후 병원에서 참사랑회에 연락주시면 참사랑회에서 병원으로 방문하여
전동 휠체어 지급
※ 선명참사랑회에서 전동휠체어 구입비용 전액을 지원하는것이 아니라, 건강보험 공단에서 지원하는
80%를 제외한 자기부담금 20%에 대해서만 지원하는것이오니 위 처리절차를 꼭 거치셔야 지원가능
합니다.
* 기타 궁굼하신 사항은 011-510-1782 또는 whg2002@gmail.com 으로 연락 주시면 상세하게 알려 드리
겠습니다.